[칼럼/논평][일다] 우춘희 연재 (5) “한국은 돈만 중시하고, 우릴 사람으로 보지 않아” - ‘정의’와 ‘평등’을 요구하며 나선 이주여성노동자들

FIPS 우춘희


“한국 역사에 대한 저의 짧은 지식으로 한 말씀 드릴게요. 한국은 예전에 일본의 식민지였습니다. 일본이 한국 사람들을 무자비하게 억압하였습니다. 한국은 일본의 지배에 벗어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 제 생각에는 예전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배했던 방식과, 현재 한국이 이주노동자를 대하는 방식이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말씀을 드려 한국분들에게 정말로 미안합니다만, 어떻게 일본이 한국에게 했던 짓을 똑같이 따라서 이주노동자들에게 하고 있는지 저는 도저히 이해가 안 갑니다.”

 

▲ ‘2020 이주노동자 메이데이 공동행동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캄보디아 20대 여성노동자 미나 씨의 모습.  ©우춘희

 

캄보디아 20대 여성 미나 씨가 마이크를 잡고 힘주어 말했다. 2020년 4월 26일,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열린 ‘2020 이주노동자 메이데이 공동행동 기자회견’ 자리에서다. 미나 씨가 ‘식민지배를 겪은 한국에서 어떻게 우리를 이렇게 대할 수가 있냐’고 통렬히 비판한 것은, 강제노동을 시키고, 임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고, 이주민을 인간으로서 평등한 존재로 바라보지 않는 한국사회의 현실이다.


“한국 정부가 사장님한테 법을 지키라고 할까요?”


2015년, 미나 씨는 고용허가제를 통해 한국에 왔고 경기도 여주의 한 비닐하우스 농장에서 일을 했다. “하루 8시간 노동, 휴게 3시간, 월급 126만원(시급 5,580원)”이라는 적힌 표준근로계약서에 서명을 했다.


“계약서에는 8시간만 일하기로 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10시간 동안 일을 했어요. (계약서와 실제 노동시간이 달라서) 조금 실망스러웠어요. 같이 일하는 친구에게 물어봤더니, 그 사람들의 계약서에도 ‘8시간'이라고 적혀있지만 쭉 10시간 동안 일을 해왔어요. 왜 그런지는 모른대요.”


(생략)


출처: “한국은 돈만 중시하고, 우릴 사람으로 보지 않아” - 일다 - https://www.ildaro.com/8998



연재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