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논평][한국일보] 지식인은 쓸모없다는 믿음

FIPS 허윤

지난달 광화문에 갔다 백신 접종 반대 시위를 목격했다. 확진자 수가 급증하고 있는 중에도 백신에 대한 공포는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었다. 의사와 과학자의 설명으로는 백신에 대한 불신을 해결할 수 없다. 미국에서도 백신 반대 시위가 계속된다. 백신뿐인가. 미국인의 약 30%는 진화론을 믿지 않는다. 인간은 신의 창조물이기 때문에 유인원으로부터 진화했다는 설명을 부정한다. 진화론에 동의하는 미국 성인은 약 54%인데, 놀랍게도 이 수치는 최근 10년 사이에 빠른 속도로 증가한 것이다. 세계 최강대국인 미국이 왜 이런 것일까?

'미국의 반지성주의'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는 책이다. 지은이인 역사학자 호프스태터는 19~20세기에 걸쳐 미국 반지성주의의 흐름을 살핀다. 그가 주목하는 역사적 결절점은 1950년대 매카시즘과 대통령 선거다. 매카시와 그의 추종자들은 "지구상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가 제공해 온 모든 혜택- 제일 좋은 집, 최고의 대학 교육, 정부 내의 좋은 일자리-을 누린 사람들"이 나라를 팔아넘겼다고 주장하며 '빨갱이'를 색출했다. 비판적 지식인들은 공산주의자로 몰려 공론장에서 축출당했다. 대통령 선거 역시 똑똑한 스티븐슨 대신 군인 출신의 아이젠하워를 선택했다. 지식인은 "우쭐대고, 젠 체하며, 나약하고, 속물적이며, 부도덕하고, 위험하며, 사회의 파괴분자일 공산이 크다"(41쪽)고 여겨졌다. 호프스태터는 이와 같은 지식인에 대한 반감과 지성에 대한 불신을 '반지성주의'라고 진단한다. …(이하 생략)…


출처: 허윤. "지식인은 쓸모없다는 믿음," 한국일보(2022.3.24.)


전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