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다는 식민-전쟁-분단의 역사와 구조를 여성주의 시각으로 재구성하는 기획기사를 연재합니다. 다양한 페미니스트 연구자들이 식민지배와 내전, 휴전으로 이어진 한국 현대사가 낳은 ‘여성의 이동’, 군 성폭력과 여성동원 등의 젠더 이슈를 제기하고, 사회구조와 여성 주체들 사이의 긴장을 드러내며 전쟁/분단/이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편집자 주
“몸은 그 자체가 일종의 매체라고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심리적, 정신적 기억 과정들이 신경으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체세포로도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몸은 습관화를 통해 기억을 고정하고 정열의 힘을 통해 그것을 강화한다.”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문화적 기억의 형식과 변천』 그린비, 2011)
오사카의 조선인 여성들 사이에서 배운 ‘크리올’ 언어
1948년생 김영자(가명) 씨는 재일조선인 2세 여성이다. 영자 씨의 부모는 1930년대에 제주 한림에서 밀항선을 타고 일본 야마구치현에 있는 항구도시 시모노세키로 건너간 후, 각지에서 일을 하다가 오사카 이쿠노에 자리를 잡았다. 당시 ‘동양의 맨체스터’로 불릴 정도로 아시아 최대의 공업 도시로 발전한 오사카는 큐슈, 오키나와, 조선 등지에서 비숙련노동자들이 유입하여 대규모 노동시장을 형성하고 있었다.
어린 영자가 살았던 지역에는 신사복 공장이 많았다. 많은 조선인 여성들이 재봉 ‘마도메’(미싱 제봉 작업 후 손으로 하는 옷마무리) 일을 담당했다. 특히 어머니는 손재주가 좋아서 공장 세 곳의 작업을 맡아 집에는 늘 일거리가 쌓여있었다. 속옷 차림의 어머니가 솜털이 날아다니는 다다미방에서 고향 출신 아주머니들과 함께 마도메 작업을 하는 모습은 영자의 삶의 원풍경이다. …(이하 생략)…
출처: 조경희. "‘조국’을 매개하는 몸, 그 기억에 담긴 역사," 일다(2020.3.1.) https://www.ildaro.com/8660
전문 보기
※ 일다는 식민-전쟁-분단의 역사와 구조를 여성주의 시각으로 재구성하는 기획기사를 연재합니다. 다양한 페미니스트 연구자들이 식민지배와 내전, 휴전으로 이어진 한국 현대사가 낳은 ‘여성의 이동’, 군 성폭력과 여성동원 등의 젠더 이슈를 제기하고, 사회구조와 여성 주체들 사이의 긴장을 드러내며 전쟁/분단/이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편집자 주
오사카의 조선인 여성들 사이에서 배운 ‘크리올’ 언어
1948년생 김영자(가명) 씨는 재일조선인 2세 여성이다. 영자 씨의 부모는 1930년대에 제주 한림에서 밀항선을 타고 일본 야마구치현에 있는 항구도시 시모노세키로 건너간 후, 각지에서 일을 하다가 오사카 이쿠노에 자리를 잡았다. 당시 ‘동양의 맨체스터’로 불릴 정도로 아시아 최대의 공업 도시로 발전한 오사카는 큐슈, 오키나와, 조선 등지에서 비숙련노동자들이 유입하여 대규모 노동시장을 형성하고 있었다.
어린 영자가 살았던 지역에는 신사복 공장이 많았다. 많은 조선인 여성들이 재봉 ‘마도메’(미싱 제봉 작업 후 손으로 하는 옷마무리) 일을 담당했다. 특히 어머니는 손재주가 좋아서 공장 세 곳의 작업을 맡아 집에는 늘 일거리가 쌓여있었다. 속옷 차림의 어머니가 솜털이 날아다니는 다다미방에서 고향 출신 아주머니들과 함께 마도메 작업을 하는 모습은 영자의 삶의 원풍경이다. …(이하 생략)…
전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