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을들의 당나귀 귀>는 한국여성노동자회가 기획하고 임윤옥, 김지혜 활동가와 페미니스트 문화비평가 손희정이 여러 게스트들을 초대해 ‘대중문화’에 관해 대담을 나누는 팟캐스트이다. 이 대담을 바탕으로 2019년 출간된 『을들의 당나귀 귀』(부제: 페미니스트를 위한 대중문화 실전 가이드)에 이어, 『을들의 당나귀 귀 2』(부제: 고루한 세계를 돌파하는 페미니스트들에게)가 3년 만에 돌아왔다. 이번에 나온 『을들의 당나귀 귀 2』는 에세이스트 김혼비, 배윤민정, 은하선과 극영화・다큐멘터리영화 감독 전고운, 이경미, 김일란, 윤가은, 문학・인류학 연구자 장영은, 허윤, 김현미가 참여해, 그들이 창작과 비평의 현장에서 길을 내면서 축적한 ‘페미니스트 지혜’를 나눈다. 기획자이자 저자 손희정은 여성들이 구축한 세계를 공유하고 언급하고 인용하는 것, 연결하고 이어 가는 작업이 중요하다면서, 『을들의 당나귀 귀 2』가 당대를 주름잡은 책, 영화, 운동을 깊이 읽고 대화 나눔으로써 한국 페미니스트 대중문화 유니버스에 “반드시 다시 찾아볼 것”이라는 인덱스를 남기는 책이라고 소개한다.
목차
프롤로그 | 손희정
아직도 짐만 싸면 신이 나 | 장영은
우리가 몸속에 품은 수많은 동사들 | 김혼비
이 세계의 스테레오타입은 너무 지루하지 않은가 | 전고운
익숙하지 않은, 예상되지 않는 | 이경미
페미니스트 감각이 다큐멘터리가 된다면 | 김일란
마음의 능력을 믿는 영화 | 윤가은
온전히 사랑하기 위해 질문한다 | 배윤민정
내 ‘이야기’가 정치적 ‘담론’이 될 때 | 은하선
‘소녀’와 ‘할머니’의 이분법을 넘어 | 허윤
‘여기’를 확장하는 정치를 꿈꾸며 | 김현미
출처: 손희정 외(2022). 『을들의 당나귀 귀 2: 고루한 세계를 돌파하는 페미니스트들에게』, 후마니타스.
더 보기
책소개
<을들의 당나귀 귀>는 한국여성노동자회가 기획하고 임윤옥, 김지혜 활동가와 페미니스트 문화비평가 손희정이 여러 게스트들을 초대해 ‘대중문화’에 관해 대담을 나누는 팟캐스트이다. 이 대담을 바탕으로 2019년 출간된 『을들의 당나귀 귀』(부제: 페미니스트를 위한 대중문화 실전 가이드)에 이어, 『을들의 당나귀 귀 2』(부제: 고루한 세계를 돌파하는 페미니스트들에게)가 3년 만에 돌아왔다. 이번에 나온 『을들의 당나귀 귀 2』는 에세이스트 김혼비, 배윤민정, 은하선과 극영화・다큐멘터리영화 감독 전고운, 이경미, 김일란, 윤가은, 문학・인류학 연구자 장영은, 허윤, 김현미가 참여해, 그들이 창작과 비평의 현장에서 길을 내면서 축적한 ‘페미니스트 지혜’를 나눈다. 기획자이자 저자 손희정은 여성들이 구축한 세계를 공유하고 언급하고 인용하는 것, 연결하고 이어 가는 작업이 중요하다면서, 『을들의 당나귀 귀 2』가 당대를 주름잡은 책, 영화, 운동을 깊이 읽고 대화 나눔으로써 한국 페미니스트 대중문화 유니버스에 “반드시 다시 찾아볼 것”이라는 인덱스를 남기는 책이라고 소개한다.
목차
프롤로그 | 손희정
아직도 짐만 싸면 신이 나 | 장영은
우리가 몸속에 품은 수많은 동사들 | 김혼비
이 세계의 스테레오타입은 너무 지루하지 않은가 | 전고운
익숙하지 않은, 예상되지 않는 | 이경미
페미니스트 감각이 다큐멘터리가 된다면 | 김일란
마음의 능력을 믿는 영화 | 윤가은
온전히 사랑하기 위해 질문한다 | 배윤민정
내 ‘이야기’가 정치적 ‘담론’이 될 때 | 은하선
‘소녀’와 ‘할머니’의 이분법을 넘어 | 허윤
‘여기’를 확장하는 정치를 꿈꾸며 | 김현미
출처: 손희정 외(2022). 『을들의 당나귀 귀 2: 고루한 세계를 돌파하는 페미니스트들에게』, 후마니타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