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및 연구자료][여성과 역사] 목적(어) 없는 “기억하겠습니다” - 일본군 ‘위안부’의 서사화와 역사적 상상력

FIPS 허윤

초록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한국인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갖는 역사적 주제다. 특히 2015년의 한일합의 이후로 여러 영화와 소설, 다큐멘터리 등이 발표되었다. 이러한 양적 증가는 ‘대중을 지향하는 공적 역사 표현의 모든 형태’로서 공공역사와 ‘역사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에 대한 관심과 맞물려서 이야기할 수 있다. 대중을 위한 역사라는 관점에서 공공역사는 역사적 상상력이 필요하다. 역사적 사실 그 자체보다 서사화된 구조가 더 강력한 소구력을 갖는 것이다. 이때 텍스트를 해석하는 중심에 민족주의적 상상력이 작동하고, 공공역사 담론에서도 이러한 경향은 강화된다. 국가와 민족의 경계는 분명해지고, 대항적 서사는 삭제된다. 일본군 ‘위안부’를 강의하는 인기 역사강사들이나 영화 <허스토리> 등은 이러한 민족국가 경계를 중심으로 일본군 ‘위안부’를 사유한다. 그러나 최근 <1945>나 <공주들>과 같은 연극은 일본군 ‘위안부’를 다루면서, 일본인 ‘위안부’나 한국군, 미군 ‘위안부’ 등을 연결시키면서 ‘위안부’ 재현의 폭을 확장하고 있다. 트랜스내셔널한 접근을 통해 한국인의 정체성을 질문하고, 군 ‘위안부’ 문제와 성산업을 연결시키며 ‘위안부’를 페미니즘적 시각으로 바라볼 것을 상기시킨다. 이러한 탈낭만화된 역사적 상상력은 일본군 ‘위안부’를 둘러싼 문화적 기억이 공공역사의 장을 다원화할 것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for the public', public history requires historical imagination. The narrative structure has more power than the historical facts themselves. This trend is strengthened in public history projects, where nationalistic imagination works at the center of interpreting text and functions as a kind of counter history narratives. The border between the state and the people becomes more clear, and the opposing narrative is deleted. Popular history instructors and movies "Herstory," which think about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focusing on these nationalistic narratives. Recently, however, plays such as 1945 and Princesses have expanded the scope of reproduction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by featuring Korean Military Sexual Slavery, and the U.S. Military Sexual Slavery. Through a transnational approach, it questions the identity of Koreans, connects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problem with the sex industry, and reminds us of the presentity of the Military Sexual Slavery. This deromanticized historical imagination shows that cultural memories surrounding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will diversify the field of public history.


키워드

일본군 ‘위안부’, 공공역사, 민족주의, 연극 <1945>, 연극 <공주들>,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public history, nationalism, 1945, Princesses


목차

Ⅰ. 공공역사로서의 이야기
Ⅱ. 모델 스토리 만들기와 유튜브 콘텐츠의 전형성
Ⅲ. 사실적 허구로서의 영화와 원본성의 쟁투
Ⅳ. 리빙 히스토리로서 연극과 탈낭만화된 대항서사
Ⅴ. 다른 목소리‘들’


출처: 허윤(2021). "목적(어) 없는 “기억하겠습니다” - 일본군 ‘위안부’의 서사화와 역사적 상상력 -," 여성과 역사, 35, 1-36.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