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논평][핀치] 허윤, 오혜진의 백일몽 5. 혁명이 끝난 자리에서 #1996년 #페미니즘 운동사

FIPS 허윤


끝나지 않았던 운동

내가 대학에 입학했을 때 사람들은 ‘운동’은 이미 끝났고, 신자유주의가 대학가를 지배했다며 혀를 찼다. 그 말은 분명 일부 사실이었다. ‘한총련’으로 상징되었던 대규모 학생운동은 이전만큼 동원력을 가질 수 없었고, 매년 4월 30일에서 5월 1일로 이어지는 민중대회에도 대학 단위의 대오는 적었다. 

하지만 나는 아직도 선명히 기억한다. 학교 본관 앞에서 눈물을 흘리며 삭발식을 하던 언니들의 모습을. 갑작스레 인상된 등록금 문제를 중심으로 교육 투쟁이 진행되고 있었고 학생회장단은 한 달간 단식투쟁을 이어갔다. 그리고 그 때 천막을 지키던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더 나은 사회를 만들겠다며 저마다의 현장을 지키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대학에서의 운동은 끝났다고 말한다.

얼마 전 연대에서 ‘1996년 8월 연대 사태’에 관한 학술대회를 참여했을 때, 그와 비슷한 기분을 느꼈다. 87년이 성공한 혁명의 기억으로 자리잡고 있다면, 96년의 ‘연대 사태’는 대학운동권의 몰락을 상징하는 사건이다. 8월의 항례 행사인 범민족대회와 통일대축전에 참가하기 위해 전국에서 모인 대학생들은 경찰의 강경진압에 일주일간 연대에 갇혀 대치를 계속했다. 

헬기에서 쏟아지는 최루액과 그에 맞선 화염병 등 신촌 일대는 내전을 방불케했다고 한다. 화염병과 쇠파이프를 든 시위대와 진압용 방패를 든 전투경찰의 후경으로, 우리 아이들을 집으로 보내달라며 외치는 어머니들이 배치된다. 생리대가 들어 있는 커다란 박스를 전달하려다 실패하는 광경 등은 ‘연대 사태’를 설명하는 가장 단적인 이미지다. ‘폭력 시위’의 주도자는 남성으로, 경찰 봉쇄로 학교에 갇힌 학생들은 여성으로 재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젠더화는 1996년 연대 주변의 풍경과 겹쳐 볼 때 여러 가지 흥미로운 지점을 노출한다.


(중략)

출처: 핀치 https://thepin.ch/think/plYBS/daydream-5


전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