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반도 평화협력의 시대에 평화교육과 통일교육의 접근 가 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작업이다. 평화교육의 역사를 고찰하고 평화 교육과 통일교육 실태와 쟁점을 살펴보았으며, 이에 기초하여 평화교육 과 통일교육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통일교육과 평화교육은 분단의 역사 속에서 분단과 남북 간의 대립, 분단으로 인한 폭력과 비평화를 해소하 기 위한 교육으로 자리매김하였고, 그 과정에서 접점을 형성하고 공동 의 영역을 만들어왔다. 평화교육의 역사 고찰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한국의 평화교육은 그 태생에서부터 분단의 극복과 민족화해라는 문제 를 중심에 놓았다. 한국에서 평화교육은 우리 사회의 폭력의 주요한 원 인 중 하나인 분단문제를 고민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는 없는 것이었다. 그 점에서 평화교육과 통일교육은 태생에서부터 한반도의 분단과 통일 이라는 출발점을 공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화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교육실천과 통 일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교육실천의 현재 모습 속에는 교육의 방 향성, 내용, 주체 등의 측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과 강조점이 나타난다. 특히 통일교육 영역에서 최근 평화‧ 통일교육이라는 명칭으로 기존 통 일교육과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한반도 평화에서 통일의 위상, 통일의 당위성 문제, 적극적 평화와 안보문제, 학습자의 주도성 등을 다루는 관점에서 평화교육과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평화교육과 통일교육 중 어느 하나가 다른 쪽을
대체하거나 양자를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보다는, 평화교육과 통일
교육이 양자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한반도 분단과 통일문제를 평화
의 관점과 가치에 입각해서 다루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한 정책과
8 평화교육의 실태와 쟁점: 통일교육과의 접점을 중심으로
제로 ① 교육 방향성 정립과 이를 위한 사회적 논의, ② 역량중심으로
평화교육 및 통일교육 내용체계 개편, ③ 민간 영역의 자율성 확대와
거버넌스 구축, ④ 시대적 과제와 평화지향성을 반영한 통일교육 관계
법령 정비를 제시하였다.
주제어: 평화교육, 통일교육, 평화·통일교육
전문 보기
이 연구는 한반도 평화협력의 시대에 평화교육과 통일교육의 접근 가 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작업이다. 평화교육의 역사를 고찰하고 평화 교육과 통일교육 실태와 쟁점을 살펴보았으며, 이에 기초하여 평화교육 과 통일교육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통일교육과 평화교육은 분단의 역사 속에서 분단과 남북 간의 대립, 분단으로 인한 폭력과 비평화를 해소하 기 위한 교육으로 자리매김하였고, 그 과정에서 접점을 형성하고 공동 의 영역을 만들어왔다. 평화교육의 역사 고찰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한국의 평화교육은 그 태생에서부터 분단의 극복과 민족화해라는 문제 를 중심에 놓았다. 한국에서 평화교육은 우리 사회의 폭력의 주요한 원 인 중 하나인 분단문제를 고민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는 없는 것이었다. 그 점에서 평화교육과 통일교육은 태생에서부터 한반도의 분단과 통일 이라는 출발점을 공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화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교육실천과 통 일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교육실천의 현재 모습 속에는 교육의 방 향성, 내용, 주체 등의 측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과 강조점이 나타난다. 특히 통일교육 영역에서 최근 평화‧ 통일교육이라는 명칭으로 기존 통 일교육과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한반도 평화에서 통일의 위상, 통일의 당위성 문제, 적극적 평화와 안보문제, 학습자의 주도성 등을 다루는 관점에서 평화교육과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평화교육과 통일교육 중 어느 하나가 다른 쪽을 대체하거나 양자를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보다는, 평화교육과 통일 교육이 양자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한반도 분단과 통일문제를 평화 의 관점과 가치에 입각해서 다루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한 정책과 8 평화교육의 실태와 쟁점: 통일교육과의 접점을 중심으로 제로 ① 교육 방향성 정립과 이를 위한 사회적 논의, ② 역량중심으로 평화교육 및 통일교육 내용체계 개편, ③ 민간 영역의 자율성 확대와 거버넌스 구축, ④ 시대적 과제와 평화지향성을 반영한 통일교육 관계 법령 정비를 제시하였다.
주제어: 평화교육, 통일교육, 평화·통일교육
전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