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모 은행에서 군인 복지포인트 체크카드를 발급받은 내 친구의 일화로 글을 시작해 보자. “이런 거 만드는 분이 별로 없어서…”라던 창구 직원분은, ‘육군 중위’라는 계급이 적힌 친구의 신분증을 확인하는 순간 심드렁한 표정을 싹 걷어내고 “와아, <태양의 후예>에 나오는 그런 장교이신 거죠?”라고 눈을 빛내며 일사천리에 작업을 진행해주셨다고 한다. 원래 지급되는 사은품인 신라면 5개들이 묶음 대신에 여행용 샤워용품 세트를 건네며 덧붙였다는 멘트도 일품이다: “멀리 나가실 때 쓰세요!”
단지 웃고 넘기자니 어쩐지 뒤꼭지가 찜찜해지는 이 일화는 최근 KBS2에서 절찬리에 방영된 16부작 미니시리즈 <태양의 후예>가 만들어낸 효과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국방부 홍보를 위해 2013년에 기획되어 현재까지도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MBC <진짜 사나이>조차 필적하기 힘들 정도로 군대와 군인의 이미지를 획기적으로 상승시켜놓은 것이다. “멀리 나가실 때”라는 표현에서 엿보이듯, 이러한 효과는 단지 ‘군바리’를 ‘멋진 장교’로 바꾸어놓는 데에 그치지 않고 한국군의 해외 파병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구축하는 데에까지 이르고 있다.
2011년 대한민국스토리공모대전에서 우수상을 받은 김원석 작가의 <국경없는 의사회>에서 출발한 <태양의 후예>는, TV 로맨스물의 독보적인 1인자로 꼽히는 김은숙 작가와의 협업을 거쳐 특전사 군인과 의사 사이에서 펼쳐지는 사랑 이야기로 각색되었다. 그 과정에서 생겨난 가부장적 구도나 군국주의 미화 등에 대한 비판은 이미 이 드라마의 방영 초반에 국내 언론에서 몇 번 다루어진 바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군(의 파병)을 미화하는 드라마가 베트남에서 방영된다는 것은 베트남전쟁의 역사에 대한 오욕이라는 한 베트남 기자의 일갈이 SNS에서 9만 회 이상 공유되기도 하는 등, <태양의 후예>에 대한 비판은 한국은 물론 동아시아 권역의 차원에서 드넓게 이루어진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는 일부의 목소리일 뿐, <태양의 후예>는 현재 27개국에 수출되면서 어마어마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광범위한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여기에는 앞서 언급된 베트남 역시 포함되어 있다).
(중략)
출처: 전쟁없는세상 블로그
전문 보기
최근 모 은행에서 군인 복지포인트 체크카드를 발급받은 내 친구의 일화로 글을 시작해 보자. “이런 거 만드는 분이 별로 없어서…”라던 창구 직원분은, ‘육군 중위’라는 계급이 적힌 친구의 신분증을 확인하는 순간 심드렁한 표정을 싹 걷어내고 “와아, <태양의 후예>에 나오는 그런 장교이신 거죠?”라고 눈을 빛내며 일사천리에 작업을 진행해주셨다고 한다. 원래 지급되는 사은품인 신라면 5개들이 묶음 대신에 여행용 샤워용품 세트를 건네며 덧붙였다는 멘트도 일품이다: “멀리 나가실 때 쓰세요!”
단지 웃고 넘기자니 어쩐지 뒤꼭지가 찜찜해지는 이 일화는 최근 KBS2에서 절찬리에 방영된 16부작 미니시리즈 <태양의 후예>가 만들어낸 효과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국방부 홍보를 위해 2013년에 기획되어 현재까지도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MBC <진짜 사나이>조차 필적하기 힘들 정도로 군대와 군인의 이미지를 획기적으로 상승시켜놓은 것이다. “멀리 나가실 때”라는 표현에서 엿보이듯, 이러한 효과는 단지 ‘군바리’를 ‘멋진 장교’로 바꾸어놓는 데에 그치지 않고 한국군의 해외 파병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구축하는 데에까지 이르고 있다.
2011년 대한민국스토리공모대전에서 우수상을 받은 김원석 작가의 <국경없는 의사회>에서 출발한 <태양의 후예>는, TV 로맨스물의 독보적인 1인자로 꼽히는 김은숙 작가와의 협업을 거쳐 특전사 군인과 의사 사이에서 펼쳐지는 사랑 이야기로 각색되었다. 그 과정에서 생겨난 가부장적 구도나 군국주의 미화 등에 대한 비판은 이미 이 드라마의 방영 초반에 국내 언론에서 몇 번 다루어진 바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군(의 파병)을 미화하는 드라마가 베트남에서 방영된다는 것은 베트남전쟁의 역사에 대한 오욕이라는 한 베트남 기자의 일갈이 SNS에서 9만 회 이상 공유되기도 하는 등, <태양의 후예>에 대한 비판은 한국은 물론 동아시아 권역의 차원에서 드넓게 이루어진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는 일부의 목소리일 뿐, <태양의 후예>는 현재 27개국에 수출되면서 어마어마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광범위한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여기에는 앞서 언급된 베트남 역시 포함되어 있다).
(중략)
출처: 전쟁없는세상 블로그
전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