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페미니즘평화학 포럼 세 번째 <안전한 삶*페미니즘> (2022. 9. 6 ~ 27. 매주 화 저녁 7~9시)

페미니즘평화학 포럼 세 번째 <안전한 삶*페미니즘>의 첫 번째 포스터 

FIPS 2022 페미니즘평화학 포럼 세 번째 <안전한 삶*페미니즘>

평화페미니즘연구소(Feminist Institute for Peace Studies, FIPS)는 2020년의 분단*페미니즘, 2021년의 군대*페미니즘에 이어 2022년에는 안전한 삶*페미니즘이라는 세 번째 주제를 가지고 여러분을 만납니다.

이번 포럼에서는 '여성'의 안전한 삶을 페미니즘 관점으로 살펴봅니다. 안전담론 중심에 젠더정치가 작동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면, 우리의 논의에서 '여성'은 더이상 닫힌 범주로서의 존재가 아니게 됩니다. 젠더이분법을 재생산하고 강화하려는 모든 시도들 앞에서, 이제는 새로운 물음을 던지고 전복적인 관점과 실천을 밀어부쳐야 할 때임을 절감하게 됩니다.

'안보'나 '치안'이라는 프레임에 갇히지 않고, 여성'들'의 안전/안녕의 문제를 논할 수 있는 공론장을 여러분과 FIPS가 함께 만들어 보면 좋겠습니다.


📑 프로그램 안내

1주차 | 전쟁하는 여성들(9월 6일 (화) 저녁 7시~9시) 전쟁과 안보가 페미니즘을 어떻게 이용하는가, 안보영역에 여성참여 증대가 어떤 효과를 내는가, 그리고 한국사회 맥락에서 여성징병제 청원은 이와 관련해 어떤 의미를 갖는가를 살핀다.
발표 김엘리(FIPS·서강대) / 토론 김보명(이화여대) / 진행 문아영(피스모모)


2주차 | 불/안전을 다루는 여성들(9월 13일 (화) 저녁 7시~9시) 한국사회에서 20-30대 여성들을 불안전하게 만드는 현실 조건은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짚고, 여성에게 안전한 삶은 무엇이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문제화해야 하는가를 함께 이야기 나눈다. 
발표 홍혜은(비혼지향생활공동체 공덕동하우스) / 진행 조서연(FIPS·서울대)


3주차 | 월경(越境)하는 여성들(9월 20일 (화) 저녁 7시~9시) 북한이탈주민, 탈북여성을 중심으로 분단이 작동하는 방식에 주목해, 분단이라는 경계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유동적으로 움직이며, 안전/안전할 수 있는 조건을 끊임없이 재구성한다는 것을 논의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안전’이 무엇인가, ‘안전한 삶’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를 이야기한다. 
발표 이슬기(FIPS·서울대) / 토론 이희영(대구대) / 진행 심아정(FIPS·독립연구활동가)


4주차 | 병역을 거부하는 여성들(9월 27일 (화) 저녁 7시~9시) 병역 의무가 없는 이들이 병역거부 선언을 한다는 것, 젠더화된 사회에서 여성들이 ‘지지자’ 혹은 ‘조력자’가 아닌 ‘당사자’로서 병역거부를 선언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군대와 병역을 넘어서는 확장된 의미의 병역거부에 대해 마음과 생각을 나눈다.
좌담회 이야기꾼 심아정(FIPS·독립연구활동가), 가람(FIPS·전쟁없는세상), 에밀리(FIPS·독립평화활동가), 연대자N(2022여성병역거부선언모임)


📌 참가 신청

* 프로그램은 온라인 화상회의 플랫폼 Zoom에서 진행됩니다. 신청해주신 여러분들께 이메일과 문자로 접속링크를 공유해드립니다.
* 참가비: 2만원(4회 일괄신청)
* 신청 기간: 2022. 8. 8.(월) ~ 9. 2.(금)
   신청 기간 종료 후 참여 신청하시는 경우, 입금 확인 및 프로그램 안내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가급적 기한 내에 신청을 부탁드려요!
* 참여 신청: https://bit.ly/fips2022forum
* 주관: 피스모모 평화페미니즘연구소
* 문의: fips.momo@gmail.com


bit.ly/fips2022forum 으로 가는 QR코드

참여 신청하기